ICT 이슈리포트

  • (18년 9월 ICT이슈 분석리포트) 스마트로봇 기술
    작성일
    2018.10.15
    조회수
    462


전자·ICT산업동향 분석 Report

- 스마트로봇 기술 -




   스마트로봇 분야 특허분쟁 사례로는  지젠 네트워크 테크놀로지(ZhiZhen Internet Technology)와 애플(APPLE)과의 특허소송이 있음

 


   지능형로봇(inteligent Robot)은 외부환경을 인식(perception)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Cognition)하여 자율적으로 동작(Mobility & Manipulation)하는 로봇임



   인간과 로봇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인공지능형 로봇인 소셜로봇(Social Robot)이 주목 받고 있음



   챗봇은 대화형 UI에서 동작하며, 자연어를 통해 사용자의 대화 문맥에 맞는 응답을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로써, 빅데이터 및 머신러닝 기반의 인공지능이 크게 발전함에 따라, 글로벌 IT업체를 중심으로 챗봇 관련 사업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음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트랙티카(Tractica)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소셜 로봇이 포함된 세계 개인 서비스용 로봇 시장은 `13년 19억 4,200만달러(약 2조 1,500억원)에서 연평균 20%씩 성장하여 `18년에는 45억 7천만 달러(약 5조 3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함



   스마트봇 기술 관련 특허가 출원되기 시작한 1995년부터 2018년까지의 특허는 총 882건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증가 추세가 나타났으며 2015년 82건으로 최다 출원수를 보임



   전체 882건 중 한국에서 405건(46%)이 출원되어 관련 분야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일본이 271건(31%), 미국이 195건(22%), 유럽이 11건(1%)을 출원하여 그 뒤를 잇고 있음



   스마트롯 분야 주요 상위 출원인 분석 결과 일본 국적의 Softbank robotics가 52건을 출원하여 최다출원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한국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본의 Honda Motor, 한국 국적의 삼성전자, 일본의 KAWADA INDUSTRIES INC. 등이 주요출원인으로 나타남



   스마트봇 관련 상위출원인은 인공지능 기반 로봇, 대화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로봇, 충돌, 속도제어 등이 가능한 스마트 로봇 등의 기술이 출원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