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이슈리포트

  • (18년 6월 ICT이슈 분석 리포트) AI기반 언어이해 기술
    작성일
    2018.07.02
    조회수
    516


전자·ICT산업동향 분석 Report

- AI기반 언어이해 기술 -

   




언어이해기술 분야 특허분쟁 사례로는 2008년, 음성인식 전문 벤쳐기업인 미국의 VLINGO와 마찬가지로 음성인식 분야 선두 업체인 미국의 NUANCE간의 분쟁이 있음


인공지능 언어이해는 사용자의 발화를 언어처리를 통하여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표현하는 의미표현을 생성하는 것임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란, 인간이 발화하는 언어현상을 기계적으로 분석해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자연언어이해 혹은 그러한 형태를 다시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표햔하는 제반 기술을 의미함


자연어 처리의 근간을 이루는 언어 이해 기술은 형태소 분석, 구문 분석, 개체명 분석, 화행분석, 의도분석의 과정으로 이루어짐


인공신경망 기계번역 기술은 텍스트 뿐 아니라 음성 번역, 이미지 번역까지 가능해지면서 음성인식 기술과 함께 급부상하고 있음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마켓 앤 마켓(Market and markets)에 따르면 챗봇의 주요기술인 자연어 처리와 기계학습 기술 시장은 연평균 55.1% 성장해 2020년 44억달러(5조 500억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함. 자연어 처리와 기계학습 기술은 2020년까지 각각 연평균 5.14%, 58.9%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함


AI 기반 언어이해기술 관련 특허가 출원되기 시작한 1986년부터 2018년까지의 특허는 총 761건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증가 추세가 나타났으며 이후 증감을 반복하다가 2011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전체 761건 중 미국에서 482건(63%)이 출원되어 관련 분야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일본이 127건(17%), 한국이 123건(16%), 유럽이 29건(4%)을 출원하여 그 뒤를 잇고 있음


AI기반 언어이해기술 분야 주요 상위 출원인 분석 결과 미국 국적의 MICROSOFT가 68건을 출원하여 최다출원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미국의 IBM, 일본의 NATIONAL INSTITUD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일본 국적의 개인출원인인 MIYAZAKI HIROAKI, 미국의 GOOGLE 등이 주요출원인으로 나타남


상위 출원인에는 미국의 주요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위출원인인 MICROSOFT, IBM 등은 텍스트나 음성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의미있는 답변을 제공하거나 자연스러운 언어로 번역하는 기술들을 다수 출원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