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이슈리포트
-
(18년 5월 ICT이슈 분석 리포트) AI기반 시각이해 기술
- 작성일
- 2018.06.01
- 조회수
- 347
전자·ICT산업동향 분석 Report
- AI기반 시각이해 기술 -
딥러닝을 이용한 영상처리 응용 기술은 특정 이미지나 비디오 영상으로부터
패턴분석을 학습을 통해 목표로 하는 성능을 얻기 위해 스스로 무엇인지 인지하는 기술임
인공지능은 이미지 속의 사물의 종류를 인식하고 영상 속 이미지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사물 분별뿐만 아니라 위치와 이동 방향을 예측하는 수준까지 도달함
영상에서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딥러닝 기술은 다양한 사업에서 높은 비즈니스 가치를 가진 다양한 활용사례를 만들 수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은 시각 지능을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을 실제생활에 적용하며, 인공지능 기반의 시각 기능을 빠르게 적용하고 있음
BCC리서치에 의하면, 전 세계 인공지능 기반 머신 시장은 2014년 62억 2,900만 달러에서 2019년 152억 7,900만 달러로 성장할 전망임
BCC리서치는 영상처리 시장은 2015년 765억 달러에서 2017년 1,090억 달러의 규모로 보고함
AI 기반 시각이해기술 관련 특허가 출원하기 시작한 1986년부터 2018년까지의 특허는 총 2,706건으로, 2010년대 초반까지 지속적인 출원 증가가 나타났으며, 특히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급격한 증가 추세를 나타냄
전체 2,706건 중 미국에서 1,696건(63%)이 출원되어 관련 분야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이 434건(16%), 일본이 375건(14%), 유럽이 201건(7%)을 출원하여 그 뒤를 잇고 있음
AI 기반 시각이해기술 분야 주요 상위 출원인 분석 결과미국 국적의 MICROSOFT가 177건을 출원하여 최다출원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미국의 IBM, 독일의 SIEMENS HEALTHCARE, 미국의 GOOGLE, ADOBE SYSTEMS, BEHAVIORAL RECOGNITION SYSTEMS 등이 주요출원인으로 나타남
상위출원인에는 미국의 주요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위출원인인 MICROSOFT, GOOGLE 등은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영상에서 일상의 많은 사물들을 구별하는 고성인 인식기술과 관련된 특허들을 다수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