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이슈리포트
-
(18년 4월 ICT이슈 분석 리포트) AI기반 상황이해 기술
- 작성일
- 2018.05.03
- 조회수
- 359
전자·ICT산업동향 분석 Report
- AI기반 상황이해 기술 -
인공지능의 상황이해기술(Context understanding)은 환경 및 주변 사람들의 감정인지를 포함하여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맥락 분석과 판단을 제공하는 상황이해기술을 의미함
인간처럼 사물, 정보 등에 대해서 사람처럼 생각하고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단순한 음성인식서비스를 넘어 향후 상황이해기술은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
IDC는 Worldwide Semiannual Cognitive Systems Spending Guide에서 상황이해를 위한 인지시스템(Cognitive Systems) 시장은 2015년부터 5년간 연평균(CAGR) 55%의 성장세를 보이며 급성장할 것으로 예측함
AI 기반 상황이해기술 관련 특허가 출원하기 시작한 1999년부터 2017년까지의 출원된 특허는 총 2,483건으로, 2010년대 초반까지 지속적인 출원 증가가 나타났으며, 미국의 경우 전체 2,483건 중 1,057건을 출원하여 43%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관련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AI 기반 상황이해기술 분야 주요 상위 출원인 분석 결과 미국 국적의 MICROSOFT가 160건을 출원하여 최다출원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이어 미국의 IBM, 한국의 삼성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국의 QUALCOMM, INTEL 등이 주요 출원인으로 나타남
주요 출원국별 상위출원인으로는 한국은 한국전자 통신연구원이 58건을 출원하여 가장 활발한 출원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국의 경우 전체 최다출원인인 미국의 MICROSOFT가 110건을 출원하여 자국 내에서도 최다출원인으로 나타남. 일본의 경우 자동차 업체인 TOYOTA MOTOR가 43건을 출원하였으며, 유럽은 MICROSOFT, QUALCOMM 등 미국 국적 출원인의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조사됨
주요 출원인 심층분석 결과, 미국의 MICROSOFT와 IBM은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데이터 관리 및 통신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상황이해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의 삼성전자는 모바일 기기 중심의 사용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상황이해기술들을 다수 출원하고 있음